반응형
AWS Certificate Manager를 통한 SSL-TLS 인증서 등록
- SSL/TLS 인증서는 HTTPS 통신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직접 통신하는 서버에 설치되어 있어 야 한다.
- 서버 단위의 Load Balancer를 이용한 다중 서버 아키텍처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직접 통신하는 것은 Load Balancer이기 때문에 Load Balancer의 역할을 하는 서버 인스턴스에 있는 웹 서버에 인증서를 설치해야 한다. 따라서, 웹 서버마다 인증서를 추가할 수 있는 설정을 제공한다.
- 서버 인스턴스의 웹 서버에 인증서를 직접 설치하는 방법도 있으나 AWS에서는 AWS콘솔에서 간편하게 클릭만으로 Load Balancer에 인증서를 추가할 수 있다.
AWS Certificate Manager에서 [ 인증서 요청 ] 클릭
도메인만 발급받은 상태라면 CertificateManager를 통해 무료로 발급 가능
도메인을 입력하고 서브 도메인까지 포함하는 인증서를 발급받고 싶으면 [이 인증서에 다른 이름 추가 ]를 클릭 한 뒤 [ *.ysy-itsy-bitsy.com ] 입력
[ DNS 검증 ] 선택 후 [ 요청 ] 클릭
도메인 소유주임을 확인하는 단계를 거쳐 잠시 기다리면 발급됨
반응형
'[개인 웹사이트 만들기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+Django 기반 웹사이트 제작 7 (local PC에 test 환경 구성) (0) | 2024.05.27 |
---|---|
AWS+Django 기반 웹사이트 제작 6 (Route 53, ALB 생성) (0) | 2024.05.23 |
AWS+Django 기반 웹사이트 제작 4 (Apache-Django 설치 및 연동) (0) | 2024.03.19 |
AWS+Django 기반 웹사이트 제작 3 (EC2 생성, bastion host SSH 연결) (0) | 2024.03.15 |
AWS+Django 기반 웹사이트 제작 2 (IGW&NGW 생성, Routing table 설정) (0) | 2024.03.14 |